top of page

카페인, 각성효과 외 두통·불면도…‘이것’ 의존 심해졌다?

카페인, 각성효과 외 두통·불면도…‘이것��’ 의존 심해졌다?

잠이 쏟아질 때, 커피 한 잔을 마시면 졸음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카페인 성분은 이처럼 탁월한 각성효과를 낸다. 하지만 이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두통, 불면증 등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다.


미국인은 카페인의 총 섭취량 가운데 약 70%를 커피에서 섭취하고, 이어 탄산음료-차-에너지음료 순으로 카페인을 더 많이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A&M 농업생활연구소'와 미 육군 환경의학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은 소비자 4만97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음료에 관한 설문조사인 '칸타 월드패널 강화 음료 서비스'(2022년) 데이터를 사용해 미국인의 카페인 섭취량을 추정했다. 그런 뒤 전국적인 대표 소비자 4만9700명(2세 이상)을 대상으로 1일 음료 섭취량 설문조사를 벌여 음료의 유형과 섭취량, 브랜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일부 과잉 섭취가 문제”…하루 평균 섭취량 210mg, 권장섭취량 400mg에 크게 미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의 약 69%가 카페인 음료를 하루 한 잔 이상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 음료를 마시는 사람의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210mg이었다. 카페인 섭취량은 50~64세(하루 평균 246m)가 가장 많았고, 2~5세(하루 평균 42mg)가 가장 낮았다. 또한 미국인은 카페인을 커피(69%)에서 가장 많이 섭취했고, 이밖에 탄산음료(15.4%), 차(8.8%), 에너지음료(6.3%)에서 각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1 저자인 미국 '텍사스 A&M 농업생활연구소' 다이앤 C. 미첼 연구원(건강증진농업연구소)은 “요즘 사람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전에 비해 탄산음료나 차를 마시는 사람의 숫자는 줄었지만, 카페인을 섭취하는 사람은 옛날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양의 카페인을 특히 커피에서 많이 섭취한다”고 덧붙였다.


카페인, 커피(69%)-탄산음료(15%)-차(9%)-에너지음료(6%)에서 섭취해


카페인은 뇌에서 졸음, 피로, 이완을 일으키는 물질(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해 각성 효과를 낸다. 미첼 연구원은 “그러나 미국인의 하루 카페인 섭취량은 하루에 400mg(미국 정부의 성인 권장량, 커피 2~3잔 분량)을 크게 못 미쳐, 안전한 수준”이라며 “카페인 섭취량이 극적으로 바뀌고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비교할 수 있는 포괄적인 카페인 섭취량 데이터가 발표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또한 미국인 카페인 총섭취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커피의 소비량은 10년 전에 비해 약 1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 기간 동안 탄산음료의 소비량은 약 27%, 차의 소비량은 약 50%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차를 마시는 사람의 카페인 섭취량은 약 2배로 크게 늘어났다. 차를 마시는 사람은 종전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카페인을 차에서 섭취한다. 또한 에너지음료(에너지 드링크)의 브랜드 수는 559개에서 970개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카페인 멀리하는 사람도 16%…에너지음료 브랜드 수 10년새 1.7배 증가


종전 연구 결과를 보면 카페인은 불안, 두통, 메스꺼움, 불안, 불면증 등 증상을 일으키고 고혈압, 심혈관병 등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첼 연구원은 “불면증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카페인 음료를 아예 입에 대지 않거나 하루 한 잔 미만 마시는 데 그치는 사람도 약 16%나 된다”고 말했다.


한국인의 카페인 섭취 실태에 관한 대규모 조사는 없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카페인을 커피(약 70~80%), 탄산음료(약 10~15%), 차(5~10%), 에너지음료(5% 이하)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 차 가운데 보리차와 일부 녹차에는 카페인이 적게 들어 있다.


이 연구 결과(An update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s and caffeine intake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US population)는 ≪식품 및 화학 독성학(Food and Chemical Toxicology)≫ 저널에 실렸다.

전문 영양상담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논현동) 6층 1,2호(논현동, SB타워)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06-서울강남-2318호

Tel:  1588-4966​

매일 08:00 - 20:00

여에스더 박사가 직접 교육한 전문영양상담사 NC가 고객님을 위해 대기 중입니다.

© 2025 by 천지인 .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